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기
쌀이 가장 먼저 재배되었다고 알려진 곳은 양쯔강 유역이라고 한다
원산지는 중국과 인도 동북부 쪽으로 알려져 있고
최대 생산국가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이다
우리나라에는 신석기시대 후기에 쌀농사가 시작되어서
삼국시대 때 널리 보편화되었다고 추정된다
우리가 밥으로 먹는 쌀은 자포니카(야포니카) 쌀로 향이 좋고 끈기가 있다
보통 물을 넣어 불린 뒤 가열하여 끈적하고 부드러운 상태의 밥으로 만들어 먹는다
인도 등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는 찰기가 적은 인디카 품종 쌀을 사용하여
주로 쌀국수나 볶음밥 종류로 많이 해 먹고
인도네시아반도 북부는 찹쌀을 주식으로 찐 찰밥을 먹는다고 한다
벼에서 난 볍씨는 껍질을 벗기는 왕겨 제거 과정을 거쳐서
우리가 먹는 쌀알이 된다
도정도 차이에 따라 현미와 백미로 나누는데
현미는 왕겨만 제거하고 쌀겨 층과 배아를 남겨둔 상태의 쌀이고
백미는 왕겨와 쌀겨층 배아까지 깨끗하게 도정한 쌀이다
쌀은 밥 말고도 여러 가지 용도로 쓰일 수 있다
그밖에 누룩으로 소주, 청주, 막걸리 등 술의 원료로 쓰이기도 하고
엿기름으로 발효시키거나 가루를 내어서 식혜나 떡 같은 음식을 만들 수 있다
쌀 보관 방법
쌀은 수분함량, 저장할때의 온도와 습도 등 여러 가지 조건으로 인하여 썩거나 곰팡이가 나기도 한다
쌀 보관시 온도와 습도가 높으면 쌀벌레가 생기기 쉽다
쌀은 사자마자 바로 소분하여 냉장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페트병에 쌀을 소분하여 김치냉장고에 보관하면 쉽게 보관할 수 있다
냉장 보관하면 쌀벌레가 살기 힘든 환경이 돼서 쌀벌레를 예방할 수 있고 썩지 않고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밖에 보관해야 한다면 습도가 낮고 바람이 잘 통하며 온도가 높지 않은 선선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쌀벌레 예방하기
쌀벌레에는 화랑곡나방, 쌀바구미, 이화명나방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날이 더워지기 시작하는 5월경부터 생기기 시작한다
여름엔 습도가 놓고 온도도 높아 쌀벌레들이 생육하기 좋은 환경이 되기 때문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예방하는 방법
1. 페트병에 쌀을 꽉 채워 냉장 보관하기
2. 껍질 벗긴 통마늘을 쌀과 같이 넣어 놓는다
3. 숯을 넣어두어 습기 조절을 한다
4. 붉은 고추를 넣어 놓는다 (캡사이신 효과)
쌀벌레 없애기
1. 계피 막대기 꽂아 두기
2. 소독용 에탄올을 솜에 묻혀 넣어 놓기 (소주 가능)
3. 쌀을 냉동실에 넣기
'알고 먹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분자 , 복분자효능 복분자주 복분자엑기스 만들기 (0) | 2023.06.18 |
---|---|
매실 효능 매실청 담그기 담그는시기 보관방법 (0) | 2023.06.09 |